뒤로

본문

FTP접속주소: w-rn.com  or 계정도메인 ( ex. ort.kr , demo.w-rn.com )

아이디: 계정명 비밀번호: 계정신청할때의 비밀번호   접속포트: 21

패시브모드: 체크해제.

 

대도록 파일질라를 추천합니다.

파일질라는 http://filezilla-project.org/ 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본 강좌에서는 아이퍼티 ( http://kldp.net/projects/iputty ) 를 이용하여 제작한것입니다.

 

SSH는 정말 편리한 리눅스 텍스트 명령어 도구 입니다.

 

 

자 위 사진이 프로그램 ( iputty) 를 실행했을때의 창 입니다.

Host Name 에 w-rn.com  또는 계정도메인 을 입력해주시고

열기를 눌러주세요.

 

 

열기를 할경우 위와같이 도스창비스무리하게 뜨면서 계정명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저는 데모계정으로 강좌를 할생각이므로 데모계정정보를 입력하였습니다.

 

위 사진에서 주위할점이 있는데.. 비밀번호 ( 계정명입력후 엔터 다음단계) 를 입력하실때, 계정명처럼 화면에 표기가 되지 않습니다.

비밀번호는 화면에 표기는 되지 않지만.. 정상적으로 씌여지고있는것 입니다. 그러므로 당황하지 마시고

계정정보 그대로 입력후 엔터 하시면 위 사전처럼 정상적으로 뜰겁니다.

 

ls라는 명령어를 입력했는데 한 이유가 정상적으로 루트폴더가 보이나 확인하기 위해서 입니다.

ls라는 명령어가 없다면 SSH를 사용하지 않았을겁니다.

 

위에서는 cd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루트 폴더로 접근했습니다.

공식이 하나 있습니다.

[명령어] 폴더

형식입니다. 즉,공백이 꼭 들어가야합니다.

옵션이 있을경우

du -h 나

??? -? 폴더

등도 존재합니다.

 

 

SSH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대한 메뉴얼은 이제부터 차차 올리도록하겠습니다.

본 내용은 http://cafe.daum.net/w-rn 게시물을 그대로 옮겨온것 입니다.

-다시 작성하기는 뭐하고 해논게있으니..-

FTP(파일질라) 로 계정접속하기

이번엔 파일질라 ( http://filezilla-project.org/ )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W-RN서버에 입주된 자신의 계정에 접속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ftp주소는 w-rn.com , ort.kr 등 메인도메인 또는 자신의 계정도메인을 입력해주십시오.

접속포트는 항상 21 이며, 패시브 모드 지원하지않습니다.

알FTP보다는 파일질라를 초특급 강력 추천하는 바 입니다.

 

위의 화면을 보시면 호스트(H) , 사용자명(U) , 비밀번호(W), 포트(P)가 보이실겁니다.

빠른연결은 위의 항목들을 모두 입력한 정보를 저장해 그걸 입력없이 말 그대로 빠르게 접속해주게 하는 기능입니다.

북마크라고 보시면됩니다.

호스트(H) : 계정도메인 즉, 계정주소를 입력하시면됩니다.

사용자명(U) : W-RN에서 신청한 계정명을 입력하십시오.

비밀번호(W): W-RN에서 신청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십시오.

포트(P): 21 을 입력해주십시오. 기본 21이라설정되어 입력하지 않아도 가능은 합니다.

 

위와같이 입력하셨다면 엔터를 눌러주십시오.

 

누르신다면 위와같이 나올것입니다. 정상적으로 파일을 불러들였다는 뜻입니다.

 

위 사진은 계정내에 존재하는 루트폴더( public_html ) 과 그 이하 폴더내용을 볼수있는 공란입니다.

루트 폴더를 더블클릭하시면 안에 초기파일 index.html 이 보일겁니다.

그곳에 XE,그누보드4,기타 파일 을 업로드하시면됩니다.

 

루트폴더의 초기 퍼미션 설정입니다.

이 퍼미션이 폴더권한중 가장 안전합니다.

그다음이 755 입니다.

XE,그누보드4 설치후 반드시 755 로 변경해주십시오.

바이러스, 해킹툴 예방법입니다.


자주 쓰이는 SSH 기본명령어

-> login
W-RN에서 추천하는 아이퍼티 이용시 필요없는 명령어.

-> passwd
패스워드 변경 명령어 하지만, W-RN에서는 차단함.

-> ls - 디렉토리의 파일 표시
도스의 dir명령과 흡사한 명령입니다. 일반적으로 ls라고 입력했 을 때에는 디렉토리와 파일만을 표시해 줍니다. ls에는 도스의 d ir과는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 옵션이 많습니다.
몇가지 자주 사용되는 옵션입니다.

-> ls -al : Hidden속성의 파일을 표시해주는 a옵션과 파일의 종류, 사용권한 등 자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옵션 l을 함께 사용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보고자 할 때 이용합니다.

-> ls -aC : Hidden속성의 파일을 보여주되, 도스의 dir/w명령과 같 이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보여주도록 C옵션을 함께 사용하여 이용합니다.

-> ls -R : 도스의 dir/s 명령과 같이 서브디렉토리의 모든 명령어 를 보여주는 옵션 R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cd - Change Directory
cd 명령어는 도스의 cd와 그 쓰임새도 같고 사용할 때에 한가지 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그것은, 도스에서는 cd\dos와 같이 사용하지만, 유닉스에서는 반 드시 cd 뒤에 한칸을 띄우고 '\' 대신 '/'를 사용한다는 것입니 다.
예) cd temp

유 닉스의 디렉토리는 말 그대로 거미줄 같이 복잡하게 얽혀 있습 니다. 따라서 개인의 홈디렉토리로의 이동을 위하여 HNCNET에서 는 'cd ~' 또는 그냥 'cd'를 입력하면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을 하도록 준비 가 되어 있습니다. 잘 이용하시면 꽤 쓸모있게 사용될 것입니다.

-> mkdir - 도스의 MD, Make Directory
이 기능 역시 도스의 MD와 같은 기능을 하는 명령어입니다. 옛날 도스책을 보신 분들은 'MD (Make Directory-MKDIR)이라는 설명이 기억 나실 수도 있겠는데, 유닉스에서는 md라는 명령어가 아니라 반드시 mkdir로 디렉토리를 만드셔야 합니다.
-> rmdir - 도스의 RD, Remove Directory
rmdir 명령어는 도스의 RD 명령어와 동일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명령어로 rmdir로 이용하시면 된다는 것외에는 다른 점이 없습니 다. 주의하실 점은 절대로 자신의 홈디렉토리를 지우시면 안된다 는 것입니다. 자신의 홈디렉토리는 '/free/아이디'의 이름으 로 존재합니다.

-> mv - move, 도스의 move?
마치 도스의 move와 같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을 다른곳 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름을 바꿀때 이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cp - copy
도 스의 copy 명령어와 같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나 도스 의 일반 옵션을 이용할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옵션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옵션을 보시고 싶으실 때에는 주저없이 man cp라고 입력하십시오. 유닉스에서는 아주 자세한 help파일이 존 재합니다.

rm - remove
파일을 지울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도스의 DEL명령어와 같이 사용하시면 되지만, 주의하실 점은 유닉스에서는 도스와 같이 un delete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pwd - 현재의 디렉토리 표시
현 재 디렉토리를 표시할 필요가 왜 있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일일이 현재 디렉 토리를 가르쳐 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스등 개인 사용자 를 위주로 하는 시스템에서는 디렉토리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아 서 디렉토리를 모두 보여주어도 큰 지장이 없지만 유닉스 시스템 의 경우 아예 디렉토리의 길이만 한줄을 넘기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현재 자신이 작업을 하고 있는 디렉토리가 어디인지 알수 없을 때 이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alias
doskey alias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입니다.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들 알리아스는 [alias ls 'ls -al']등과 같이 사용하시면 되는데, 한 번 지정한 alias를 계속해서 이용하시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cshrc(Hidden 속성)을 pico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변경시 키면 됩니다.

man / info
Linux의 명령 사용법에 대한 매뉴얼/정보 명령입니다. 예) man pwd  / info passwd
파일 목록
       -rw-rw-rw-   1   kim   users       50  May 17 06:55  test.txt
       drwxrwxr-x    3   root  users    1024  Jul    6  05:30  work/
속성 -u   g   o          

-> cat
파일의 내용을 보는 명령입니다. DOS의 type과 같습니다.   예) cat  /etc/hosts  
chmod
파일의 읽기/쓰기/실행 권한을 설정합니다.  예) chmod go-r  test.txt   예) chmod 777 test.txt

-> more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끊어 보게 해 줍니다. DOS의 more와 같습니다.  예) more  /etc/secret.txt  

->
rm : remove
rm [-I][-r] filename 파일을 지울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du -h
계정의 사용량을 알아보는 명령어
[계정명@w-rn ~]$
du -h <-- ssh 로 접속후 홈디렉토리에서 du -h 입력
SSH를 이용하여, 웹서버 이용용량 알아보기

SSH로 고객님 사이트에 접속을 합니다.

 

로그인후 du -h 를 입력 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겁니다.

[계정아이디@w-rn ~]$ du -h


?M     ./public_html

....

...

.. <이하 폴더 및 좌측은 용량 M = 메가바이트 , K = 키로바이트. >

 [계정아이디@w-rn ~]$



하드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들은 미리 지워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http://w-rn.com/phpmyadmin/

으로 접속을 하신다면 알분들은 알고계시는 phpmyadmin 이 등장합니다.

이 프로그램으로 웹에서 손쉽게 W-RN에서 발급받은 계정명(DB명,DB아이디)를 관리할수있습니다.

 SSH로MYSQL사용법-백업,복구

  1. Mysql 접속방법
    SSH로 접속을 하신뒤 아래와 같이 입력해주세요.

    mysql -u계정명 -p 데이터베이스 (-p 다음에 꼭 띄어써주세요.)
    Enter password:               (암호를 입력해주세요)

    암호는 입력시 표시가 되지 않습니다.
    아이디와 암호는 ftp 아이디와 암호와 동일합니다.
    데이타베이스또한 ftp 아이디와 동일하게 넣어주시면 됩니다.


  2. Mysql 종료
    Mysql 접속 상태에서 벗어 나시려면 quit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


  3. 데이터베이스 안의 테이블 백업 받기
    mysqldump -u아이디 -p 데이타베이스 테이블명 > 백업테이블명.sql


  4. 데이터베이스 전체 백업
    mysqldump -u아이디 -p 데이타베이스 > 백업화일명.sql


  5. 복구
    mysql -u아이디 -p 데이타베이스 < 백업화일명.sql

 

 아래는 기타 팁입니다.

  1. 테이블 내용확인
    mysql>select * from 테이블이름;

  2. 테이블 생성
    mysql>create table 테이블이름 (내용);

  3. 테이블의 삭제
    mysql> DROP TABLE 테이블명

  4. 테이블 이름 변경
    mysql>alter table 옛날테이블명 RENAME 새테이블명;

  5. 테이블 정보 출력
    mysql> USE mysql; 또는 mysql> SHOW TABLES;

  6. 필드 정보 출력
    mysql> SHOW COLUMNS FROM db; 또는 mysql> DESC db;

 

 

'예전자료들 > 잡다한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사이트제작#1  (0) 2010.09.19
수학강좌가 도움될지..  (0) 2010.09.19
PHP의 특징  (0) 2010.09.19
PHP의 이용범위  (0) 2010.09.19
php의 역사  (0) 2010.09.19
PHP의정의  (0) 2010.09.19
2009 연말결산  (0) 2010.09.19
무료계정  (0) 2010.09.19
수학이란?  (0) 2010.09.18
자유공원(인천의역사) 감상  (0) 2010.09.18

댓글

공지사항

최근 글

방문자

어제 명, 오늘 명